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소아암 환자들의 간수치 상승 원인, 윌슨병

정보

by 187쟁이 2023. 11. 24. 14:13

본문

반응형

항암을 하다 보며 간수치 상승으로 인해 항암을 진행하는 거에 어려움이 생기는 경우가 생깁니다.

하루빨리 항암을 끝내고 유지에 들어가야 되는데 하루하루 늦어지면 치료받는 아이나 보호자 입장에서는

답답할 뿐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소아암 환자들의 간수치 상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처-근력운동트레이너블로그

1>. 간 질환 검사 방법

 

1. ALT,AST,LDH 3가지의 간세포의 손상정도를 확인하는 방법과, 담즙의 배설 장애 or 담즙 정체를 확인하기 위한 

GGT, AP,빌리루빈, 담즙산 등의 검사가 있다.

 

2. 간의 합성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로 혈정 알부민, 혈액 응고인자를 포함하여 PT 및 PTT이 있다.

 

3. 우리 체내에 특정 물질을 삽입을 주입하여 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검사가 있으며, 간 기능 장애를 초기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4. 간 초음파, 간CT,  간 MRI,  핵의학 검사 등 간의 해부학 이상을 확인하는 영상의학 검사가 있다.

 

5. 조직검사를 통한 간표 실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6. 특정 질환과 간 질의 합병증을 알아보는 검사로 AFP, 간염 표지자 검사 및 자가 항체 검사가 있다.

 

출처-뚝딱소청소년의원

2>. ALT, AST,LDH

 

1. ALT

- 주로 간세포 안에 존재하는 효소로 GPT라고도 불린다.

 

2. AST

- 효소 AST는 GOT로도 불린다. 간세포 이외 심장, 신장, 뇌, 근육 등에도 존재하며 세포가 손상되는 경우 농도가 증가한다

 

3. LDH

- 우리 몸속의 당이 분해되어 에너로 전환될 때 작용하는 효소들 중 하나이다.

 

3>. 윌슨병

 

--인체 내 구리의 대사 이상으로 구리가 뇌, 간, 안구, 신장, 적혈등에 침착함으로 생기는 질환.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